●펠로시 : "대만을 고립시키는 중국과 같은 공범이 되지 않을 것." "시진핑의 현재 위치에 위험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Z4u7tS7dw 

 

●반도체주 및 우주, 자동차 

-   반도체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주 하락 
  i) 미국의 반도체 패권 욕심. 
  ii) 바이든 대통령, 미국에 366조 보조금 투자 승인. 반도체 산업 육성 의지 강조.

https://www.youtube.com/watch?v=VsLDXc_0aJc 

 

  https://www.youtube.com/watch?v=cEJofDVO3bU 

 


 - 방산은 무난한 등락폭
  i)한화에어로 연일 상승. '한국의 록히드마틴' 기대감.  며칠 째 상승세 이어져. 
  ii)한국항공우주, 몰래 추진되었던 이라크 공군기지 건설비용을 2분기 영업익으로 충당.2분기 매출 및 큰 영업익 상승 기대했던 기대에 찬물 끼얹어.. 올들어 공식적으로 알려지지도 않은 사항이자 2분기 종료 전 기사화 되지도 않은 뜬금없는 통수.
  8/9어제 무려 8% 하락. 준비도 없이 앉아서 눈뜨고 당한 소액주주들.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아직 한국에 잘 알려지지 않은 기업이지만.. 주도적인 UAM 사업기업 중 하나. 보잉, 에어버스 등 해외 메이저 기업들과 거래. 

 

-기아자동차 K5 26만대 리콜 예정

https://www.youtube.com/watch?v=Uw5jX7mRS4M 

 

 

●오전시황 

 - 코스피 하락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주 하락 

 

 

728x90

●UAM 경쟁 본격화 - 켄코아에어로, 한화에어로, 대우건설, 현대자동차 등..

https://www.inews24.com/view/1507664

 

'UAM' 불붙은 경쟁…건설업계 "이젠 하늘길 뚫는다"

[아이뉴스24 김서온 기자] 도심 상공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항공 교통 시대'가 열릴 것이란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차세대 교통 체계인 '도심형 항공 모빌리티(이

www.inews24.com

 

 

● 대만 VS 중국 군사갈등 

 - 중국, 국방부 공식 채널 통해 미국 맹 비난.  '갈등의 원천은 미국이며, 미국이 이 사태에 대한 모든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 중국, 대만 포위 기존 군사훈련 일정 종료되었음에도 연장하여 대치 계속. 중군 군함들 그대로 잔류 중. 

https://www.youtube.com/watch?v=meZGBdNaI08 

 

●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 지역 충돌 분수령 - 중요한 시점. 

 - 우크라이나는 주요 교량 다시 파괴해 러시아군 보급 원천 차단 실행 중.

 

https://www.youtube.com/watch?v=Y0HmtJI6Np8 

https://www.youtube.com/watch?v=0wdQBpWB1Hg 

 

 

●KF-21 미티어 미사일 등 2022년 이후 무기체계 수입, 개발 주목 

 - 하기 기사는 미티어 및 타우러스 등 미사일 관련 2022 초반기 뉴스.

 - 독일에서 타우러스 미사일 공동개발 제안 후 / 국내 개발 혹은 공동개발 이나 그 외 방향 주목 

https://www.youtube.com/watch?v=0NOjYZv9mY8 

 

728x90

◆2022,08

 

https://www.youtube.com/watch?v=ucNYDf8qxUs 

 

 

-해군 

1. 항공모함 - 총 3척 보유
 1) 랴오닝 - 스키점프대 사용
   러시아로부터 수입하여 사용. 이를 기반으로 항공모함에 대한 데이터 적치 성공
 2) - 스키점프대 사용
 3)산둥함 - 2022 진수. 최신식 (전자식) 캐터펄트 사용. 적재 항공기 수 대폭 상승

 

-공군
 1)젠-20 : 스텔스기
 2)젠-17

 

- 해가 갈수록 강하게 거듭나는 중국..주변국들에 부담.

https://www.msn.com/ko-kr/news/world/%EB%AF%B8%EA%B5%B0-%EB%8D%94%EC%9D%B4%EC%83%81-%EC%84%9C%ED%83%9C%ED%8F%89%EC%96%91-%EC%A7%80%EC%97%AD-%EA%B5%B0%EC%82%AC-%EC%B5%9C%EA%B0%95%EC%9E%90-%EC%95%84%EB%8B%88%EB%8B%A4-cnbc/ar-AA10n1FR?ocid=iehp&cvid=8111fdb904ba45a983223e5e5dc02d29 

 

미군 더이상 서태평양 지역 군사 최강자 아니다-CNBC

25년 전 대만을 위협하던 때의 중국군과 현재의 중국군은 전혀 다르며 더이상 미국이 태평양 서부의 최강자가 아니라고 미 CNBC가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5년 전 중국 총통이 미국을 방문할 당

www.msn.com

 

 

◆2022,05

■중국 이슈 및 정황


-미국 "대만 WHO에 참여시키자." 중국의 반대에도 - 바이든 대통령 "대만 방역사례 공유되어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273010

 

‘신냉전 전장터’ 된 WHO 총회…美 “中 반대에도 대만 초청하자”

오는 22∼28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제75회 세계보건총회(WHA)가 ‘하나의 중국’을 둘러싼 미중 간 신냉전의 새 전장으로 떠올랐다. 최근 미국 국무부가 ‘대만은 중국의 일부’라는 내용을

n.news.naver.com

 

-중국 코로나사태로 인한 봉쇄, 중국인들의 집단 반발 및 탈출이 발생하고 있다. 

-서해어업관리단 : 중국불법어선들에 대한 계도 및 단속. 다행히 2018년 부터 해마다 중국 어선들의 담보금 납부(불법 조업으로 인한 벌금 납부)는 줄어들고 있다.

-보이그룹 가수 엑소 출신 레이(중국 국적) : 중국의 항미원조전쟁 (6.25 전쟁, 한국전쟁) 을 강력하게 옹호하는 골수 중국 공산당 지지자.
 하나의 중국 원칙을 깼다며 삼성전자와의 계약을 일방적으로 취소하고 콘서트도 취소한 이력이 있다. 현재 중국에서 활동.

 

https://www.youtube.com/watch?v=LwEH_W8sW4Q 

 

"中국가안전국, 국가전복 혐의로 '마모'씨 체포"-CCTV(상보) (msn.com)

 

"中국가안전국, 국가전복 혐의로 '마모'씨 체포"-CCTV(상보)

"中국가안전국, 국가전복 혐의로 '마모'씨 체포"-CCTV(상보)

www.msn.com

 

https://www.youtube.com/watch?v=nGFED3GFcgM

 

엑소 레이, 팬들에게 공산당 역사 퀴즈…中 출신 아이돌 또 논란 - 조선일보 (chosun.com)

 

엑소 레이, 팬들에게 공산당 역사 퀴즈…中 출신 아이돌 또 논란

엑소 레이, 팬들에게 공산당 역사 퀴즈中 출신 아이돌 또 논란

www.chosun.com

 

728x90

●8/8 한국항공우주, LIG넥스원 실적 발표

 -한국항공우주 : 4시 (장 후 예정) 

 

●군사훈련 및 그에 따른 영향 

 - 중국(대만 포위훈련 사실상 종료)의  서해 남부지역 포 실사격 훈련 

https://www.youtube.com/watch?v=c5ZkA-rSxcY 

 

 

 - 대만, 내일 9일부터 중국 무력시위에 보복성 실사격 훈련
  대한민국과 대만의 지난 해 무역 규모는 37조원에 달하며, 전체 무역규모의 4%에 해당한다. 중국과의 갈등이 계속될수록 우리의 피해도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양 국의 번갈아 벌어지는 포사격 혹은 무력시위 시)

https://www.youtube.com/watch?v=AZGqPwc5vNM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 휴전 (이집트 중재)

https://www.youtube.com/watch?v=6eNfLj8M35Q 

 

 

●러시아 VS 우크라이나

https://www.youtube.com/watch?v=fSd-E4Jw5-g 

 

 

●중국 VS 타이완 대치. 

 - 중국 대만 포위 군사훈련 대부분 종료 - 중국의 고강도 무력시위 후 대만도 맞불시위로 포 사격 및 항공 전력 동원 예정

 

https://www.youtube.com/watch?v=FXkQ6NUff5M 

 

 

https://www.youtube.com/watch?v=r5xRVvvbJS0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