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장이 대부분 폭락하며 코스피도 어제에 이어 하락장으로 시작.

 

한국항공우주 외 우주섹터,방산

- 우주는 모두 상승. 아직 우주산업이 시작하는 단계라 심지어 오늘 하락한다 해도 희망적인 소스 많음. 

- 방산은 조선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큰 호재가 없어 시장의 흐름을 따라감. 다만 조선은 먼 미래의 시점이기는 하나 향후 나오는 호재 소스 존재. 종목은 정식 관심종목으로 편입 후 공개

 

 

어제에 이어 다우, 나스닥 역시 큰 폭으로 하락했다. 

삼성전자는 며칠 전 81000원대 매도했던 것이 역시 주효했으며, 지난해 12월 연말배당을 크게 하고, 올해 상속세 납부까지, 적어도 상승에 엄청난 제한이 있을 것이라는 것은 이미 예상된 것이었다. 

배당 확정되었던 1월부터 준비하여 89000원대 모두 분할 매도했던게 적중했음. 남은 정찰수량 50주는 지루한 횡보 후 더이상 지켜볼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여 81000원으로 재진입 하였을 때 상황을 보고 모두 매도하였음. 

다만 삼성전자 우는 향후 메리트와 연말 배당, 분기배당 메리트가 있는 것으로 보고 그대로 두었으며, 외국인도 삼성선자우로 연초 매도 후 다시 빠르게 재진입하는 양상을 보였음. 때문에 이미 다른 주로 현금을 확보한 상황이고 평단가도 5만원이라 여유있게 연말까지 배당금을 받으며 투자 가능. 

 

복병은 현대제철. 4만원에 평단가를 맞춰 장기투자도 가능하나, 6만원까지 상승했을 때 매도하려다 호재가 겹겹이 쌓이는 바람에 놔 둔 것이 벌써 5만원 초반대로 낮아져 수익금이 크게 감소된 점은 아쉬운 점. 

 

코로나 여파로 국내외 시장이 어렵고 어제의 옵션 만기일에 일본 비상사태 선포까지 겹쳐 연일 장이 어려운 상황. 

 

부록:자동차 관련주 - 철판을 이용하는 화신과 현대위아만 소폭 상승하며 방어중

 

728x90

주요지수 현황

 

삼성전자 - 오늘 역시 외인 수급 들어오고 있으나 장 초반 하락시작.

2분기 실적전망은 희망적

 

철강관련주

현대제철 - 현재 하락중

 

항공우주, 방산 - 지난 주 공공기관 거래정지 처분 내려졌던 한국항공우주는 집행정지 신청으로 소폭 회복중. 

한국항공우주 (KAI)

 

728x90

 누리호 프로젝트가 추진체 발사 실패 리스크로 인해 성능개량 예산편성을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통과에 실패했다. 예타 위원들이 밝힌 사유는 아직 누리호가 발사에 성공하지 못 한 상태이므로 급할 게 없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모든 프로젝트가 그렇듯 예정대로 일정을 맞추기 위해서는 동시다발적으로 필요한 개발,개량 단계를 거쳐야 한다. 당장 급하지 않다고 투자비 집행을 미루면 일정에 대한 리스크는 미래에 누가 책임질 지 의문이다. 오히려 기존 계획된 2030 달 탐사 일정을 기한 내 완료하지 못했다고 책임을 물을 경우, 예산집행을 미뤄버린 예타위원회에서 져야 할 것이다. 그만큼 예타위원회에서는 1조5천억의 예산 삭감을 위한 분석이 더 철저했어야 하며 그 사유도 더 명확했어야 했다. 

관련기사 (아래 / 출처 : 아시아경제)

누리호 개량 사업 안 한다…대놓고 무시당한 文 '공약'
https://www.asiae.co.kr/article/2021062908103577229

 

[단독]누리호 개량 사업 안 한다…대놓고 무시당한 文 '공약'

정부가 최근 확정한 내년 연구개발(R&D) 예산안에서 첫 한국형 우주 발사체 '누리호'의 개량 사업 몫을 전액 삭감한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의 계획대로 2030년 달 탐사 착륙선을 우

www.asiae.co.kr

  누리호는 그렇다 해도 앞서 지금 정부의 공약으로서 미사일 지침 해제에 따른 본격적인 우주산업 스타트 및 누리호 상용화가 핫이슈로 이야기 되었던 며칠 전과는 다른 분위인 것은 확실하다. 지난 주 기사화 되었던 방사청의 한국항공우주 공공기관 입찰 제한 재 규제도 행정심판 재결로 끝난 일을 가지고 다시 취소처분을 한 것이라 의아한 부분인 것도 사실인데 갑자기 누리호 개량사업까지 중지시킨 것이니 그 사유가 궁금해진다.

 어쨌든 위성사업은 기존 예타에서도 예산낭비의 '우려' 는 있어왔고, 어쨌든 기존의 일정을 고려했을 때 발사실패에 대한 리스크를 해소하는 것은 필수적이므로, 한국항공우주측에서는 일단 예타 통과를 위해 발사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과학을 읽다]누리호 상용화·KPS 착수…文 정부 우주개발 유종의 미 거두나 - 아시아경제 (asiae.co.kr)

 

[과학을 읽다]누리호 상용화·KPS 착수…文 정부 우주개발 유종의 미 거두나

첫 한국형 우주 발사체 누리호 상용화 사업,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국가우주위원회 격상 등 임기 말 문재인 정부의 굵직굵직한 우주 개발 관련 정책이 본격화되고 있다. 우선 미국의 GPS

www.asiae.co.kr

 

 언제든 사용할 수 있게 준비되어야 하는 발사체 (핵 미사일, 로켓역시 이에 해당) 는  고체연료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액체 연료를 추진체에 오래 넣어두면 변질 될 수 있어 결함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이미 미사일 지침으로 인한 제한이 있었던 오래 전 부터 예상되었던 내용이지만, 대한민국도 역시 고체연료를 만들 수 있을만한 기술적 능력이 있다고 평가되어왔다. 

https://cm.asiae.co.kr/article/2021060915505822902

 

3년내 고체 연료 우주발사체 만들어 발사한다

정부가 앞으로 3년 내에 민간 업체 주도로 고체 연료 기반의 소형 우주 발사체를 개발한다.또 오는 2035년까지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를 완성한다는 구체적인 계획도 확정했다. 지난달 21일(

www.asiae.co.kr

 

728x90

'▶주주정보구역. 경제의 창◀AWACS_A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7/9 코스피 등 시장현황  (0) 2021.07.09
6/29 시황  (0) 2021.06.29
6/28 현황  (0) 2021.06.28
6/18 한국항공우주 종합  (0) 2021.06.18
6/18 현대제철, 포스코 종합  (0) 2021.06.18

주요지수 현황 

 

철강관련주

 

현대제철 - 매수매도 주체

 

항공우주, 방산

한국항공우주 (KAI)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