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주요 기업,산업 간략 정보

●삼성전자 

-반도체 산업  전환국면 - 반도체 업황개선 시작 예상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036205?sid=101

 

반도체 업황 개선…"6월부터 삼성전자의 시간"

[서울경제] 메모리 반도체 업황의 나침반인 미국 마이크론이 호실적과 장밋빛 전망을 발표했지만 삼성전자(005930) 의 주가가 여전히 맥을 못추고 있다. ‘큰손’인 외국인투자가들이 삼성전자를

n.news.naver.com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330_0001813003&cID=13001&pID=13000 

 

SSD 1위 삼성전자, 2위 WD와 MOU 체결…"기술 평준화 위한 협력"

[서울=뉴시스]동효정 기자 = 삼성전자는 스토리지 전문 기업인 미국의 웨스턴디지털(Western Digital)과 '존 스토리지(Zoned Storage)' 기술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www.newsis.com

 

 

●스텔스기, 극초음속미사일, 레이저 무기, 정찰/정보위성 등 게임 체인저 개발예정

https://www.youtube.com/watch?v=vVJmQiscdWk 

 

●한국항공우주

-헬기,전투기,위성 국산화

-고체연료 발사 성공

-국제적으로 증가하는 방위산업 수요. 경공격기 기대.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326/112542256/1

 

헬기-전투기-위성 등 부품 국산화… 항공기 엔진분야서 독보적 입지 구축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대한민국에서 각종 전투기 및 헬기 엔진 제작을 도맡아 온 국내 유일의 가스터빈 엔진 제작 기업이다. 올해로 설립 45주년을 맞으며 지금까지 9000대 이상의 …

www.donga.com

 

https://www.youtube.com/watch?v=S5zrdxD78Ks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32317141628754 

 

"우리도 천궁Ⅱ" "경공격기, 빨리요"…'우크라 사태'에 바빠진 K-방산 - 머니투데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전세계가 국방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게 되면서 무기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각 국이 전범국인 러시아산 무기를 수입하기 어려...

news.mt.co.kr

 

728x90

1.누리호 10월 발사 위한 시험, 준비 완료. 
  한국항공우주가 개발한 대한민국 독자기술로 개발한 로켓발사체 누리호, 이제 운명의 시간이 머지 않았다. 
 지난 6월 미사일 지침 해제 이후 숨겨?왔던 기술력으로 SLBM같은 미사일 그리고 우주선개발에 박차를 가해왔다.
 가장 먼저 다가오는 우주항공 관련 이벤트는 10월의 누리호 발사다. 누리호 발사 성공 시 앞으로 우리나라도 무궁무진  한 가능성과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v=BBOip3kBazg 

 

2.향후 우주계획 관련 정부발표: 고체연료 엔진 장착한 로켓 발사 예정 
 3년 뒤 고체 연료 엔진 장착한 우주 로켓을 발사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목적: 다수 위성 운용)
 현재 발사 계획된 로쳇(위성) 수량은 43개. 위에서 설명한 누리호 발사가 그 첫걸음이 될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CqgyvYoWYTE 

 

728x90

 누리호 프로젝트가 추진체 발사 실패 리스크로 인해 성능개량 예산편성을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통과에 실패했다. 예타 위원들이 밝힌 사유는 아직 누리호가 발사에 성공하지 못 한 상태이므로 급할 게 없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모든 프로젝트가 그렇듯 예정대로 일정을 맞추기 위해서는 동시다발적으로 필요한 개발,개량 단계를 거쳐야 한다. 당장 급하지 않다고 투자비 집행을 미루면 일정에 대한 리스크는 미래에 누가 책임질 지 의문이다. 오히려 기존 계획된 2030 달 탐사 일정을 기한 내 완료하지 못했다고 책임을 물을 경우, 예산집행을 미뤄버린 예타위원회에서 져야 할 것이다. 그만큼 예타위원회에서는 1조5천억의 예산 삭감을 위한 분석이 더 철저했어야 하며 그 사유도 더 명확했어야 했다. 

관련기사 (아래 / 출처 : 아시아경제)

누리호 개량 사업 안 한다…대놓고 무시당한 文 '공약'
https://www.asiae.co.kr/article/2021062908103577229

 

[단독]누리호 개량 사업 안 한다…대놓고 무시당한 文 '공약'

정부가 최근 확정한 내년 연구개발(R&D) 예산안에서 첫 한국형 우주 발사체 '누리호'의 개량 사업 몫을 전액 삭감한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의 계획대로 2030년 달 탐사 착륙선을 우

www.asiae.co.kr

  누리호는 그렇다 해도 앞서 지금 정부의 공약으로서 미사일 지침 해제에 따른 본격적인 우주산업 스타트 및 누리호 상용화가 핫이슈로 이야기 되었던 며칠 전과는 다른 분위인 것은 확실하다. 지난 주 기사화 되었던 방사청의 한국항공우주 공공기관 입찰 제한 재 규제도 행정심판 재결로 끝난 일을 가지고 다시 취소처분을 한 것이라 의아한 부분인 것도 사실인데 갑자기 누리호 개량사업까지 중지시킨 것이니 그 사유가 궁금해진다.

 어쨌든 위성사업은 기존 예타에서도 예산낭비의 '우려' 는 있어왔고, 어쨌든 기존의 일정을 고려했을 때 발사실패에 대한 리스크를 해소하는 것은 필수적이므로, 한국항공우주측에서는 일단 예타 통과를 위해 발사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과학을 읽다]누리호 상용화·KPS 착수…文 정부 우주개발 유종의 미 거두나 - 아시아경제 (asiae.co.kr)

 

[과학을 읽다]누리호 상용화·KPS 착수…文 정부 우주개발 유종의 미 거두나

첫 한국형 우주 발사체 누리호 상용화 사업,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국가우주위원회 격상 등 임기 말 문재인 정부의 굵직굵직한 우주 개발 관련 정책이 본격화되고 있다. 우선 미국의 GPS

www.asiae.co.kr

 

 언제든 사용할 수 있게 준비되어야 하는 발사체 (핵 미사일, 로켓역시 이에 해당) 는  고체연료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액체 연료를 추진체에 오래 넣어두면 변질 될 수 있어 결함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이미 미사일 지침으로 인한 제한이 있었던 오래 전 부터 예상되었던 내용이지만, 대한민국도 역시 고체연료를 만들 수 있을만한 기술적 능력이 있다고 평가되어왔다. 

https://cm.asiae.co.kr/article/2021060915505822902

 

3년내 고체 연료 우주발사체 만들어 발사한다

정부가 앞으로 3년 내에 민간 업체 주도로 고체 연료 기반의 소형 우주 발사체를 개발한다.또 오는 2035년까지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를 완성한다는 구체적인 계획도 확정했다. 지난달 21일(

www.asiae.co.kr

 

728x90

'▶주주정보구역. 경제의 창◀AWACS_A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7/9 코스피 등 시장현황  (0) 2021.07.09
6/29 시황  (0) 2021.06.29
6/28 현황  (0) 2021.06.28
6/18 한국항공우주 종합  (0) 2021.06.18
6/18 현대제철, 포스코 종합  (0) 2021.06.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