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BM 개발 관련, 연속발사 성공 & 실전배치 본격화

 - 로켓 발사는 우주기술과 직접적인 연관. 

 - 1차 누리호 발사 때는 하지 못해 관련업계 인원들이 바라고 기대했던 기술. 고체연료 로켓 발사 해냈다. 
  로켓 발사 준비 시 직접 연료를 주입해야 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액체연료와 달리 미리 연료를 넣어
놓을 수 있고 연료 탑재 후 이동까지 가능해서 큰 기술력의 성과로 평가되는 액체 to 고체연료 사용.

 - SLBM 발사성공 첫 공개 때 처럼 마치 숨겨놨던 기술인 듯 계속되는 성공. 우주 강국으로 한 층 더 다가가. 

 - 곧 다가 올 2차 누리호 발사 때 고체연료 사용여부 기대

 

 

http://naver.me/5Gz3ySnH

 

[D] 고체로켓 첫 발사 성공과 뉴스페이스, 그리고 우주청

안녕하세요, 최근 군 당국이 고체연료 로켓(우주발사체)의 첫 시험발사에 성공한 뒤 이른바 뉴스페이스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뉴스페이스 시대와 차기 윤석열 정부가 신

contents.premium.naver.com

 

 

https://www.youtube.com/watch?v=sA0xp74sMPE 

 

 

https://www.youtube.com/watch?v=Cc47ofb0Dfk

 

https://www.youtube.com/watch?v=XyWUA9intHE 

 

 

 

728x90

 마라도함은 기존 대한민국이 운용하고 있었던 독도함 보다 더 발전된 방식의 강습상륙함이며, 수직이착륙기를 띄울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세계 조선 1위라는 타이틀을 중국으로부터 되찾은 이 후 독도함을 이어 마라도함, 핵잠수함인 도산안창호함, 2030년 항공모함까지(경 or 중), 경제 뿐 아니라 동북아의 강자의 대열에 합류하고, 항공모함을 제작하는 중간단계를 성공적으로 해냈다는 의의도 있다. 

마라도함 취역식 - 국방 NEWS

https://www.youtube.com/watch?v=txvhmgKk1NM 

 

https://www.youtube.com/watch?v=cvg3Z0KKkTA 

 

 아울러, 이런 LPX 외에도 향후 구축함의 경우(KDDX), (엔진을 제외할 것으로 보이나 그 외에)  100% 한국산으로 제작할 예정이며, 형상이나 여타 설계도 스텔스전투함을 만들게 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v=2sFbp8xng_g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