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테이퍼링 이슈로 지난 주 큰 폭 하락이 이어졌던 국내시장이 현재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다. 
기존 10월로 계획되었던 테이퍼링 계획이 주요 원인이었으나, 갑자기 오늘 상승한 이유는 주말에 있었던 카플란 의장의 발표였으며 / 내용은 현 변종 코로나 확산이 지속되어 경제 성장이 둔화될 시 테이퍼링 정책을 다시 생각하겠다는 것이었다. 발표 전 테이퍼링을 내년 초로 미룰 것이라는 전망이 있어 아예 폐지가 아닐 수도 있지만 갑자기 엄습해 온 테이퍼링이 반갑지 않았는데다가 크게 타격을 입은 주주들로서는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하기 기사 참고.

Fed’s Kaplan says he may rethink his call for taper to start in October if delta variant slows economy - MarketWatch

 

Fed’s Kaplan says he may rethink his call for taper to start in October if delta variant slows economy

Dallas Fed President Rob Kaplan said Friday he may rethink his call for the Fed to start to slow down asset purchases soon if it looks like the coronavirus...

www.marketwatch.com

 이에 코스피는 40포인트 이상 급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항공우주, 조선 계열의 상승이 두드러지고 있고 최근 하락폭이 컸던 전자분야, 자동차, 철강 분야도 회복하고 있다. 

한국 항공우주는 약 2.5%, 켄코아 에어로스페이스는 약 4%의 상승을 보이고 있다. 

 

<아래 시황 상세>

 

728x90

본문 기사 (참고) - 실제 기사 제목 : 中 '반도체 굴기' 무너지나…(중국)국유 메모리 기업 부도 위기

본문 기사 중 아래 부분이며, 칭화유니 그룹은 중국에서 엄청난 자금을 투입해서 수 년 간 삼성전자에 위협을 주는 존재로 있어왔다. 그동안 SK하이닉스, 삼성전자를 투자해오며 칭화유니로의 수 조 원에 달하는 자금을 보고 삼성전자도 시간이 지나면 1위의 자리를 지킬 수 있을까 걱정했는데 만약 칭화유니그룹이 실제 채권연장에 실패한다면?

본문 주요부분 발췌 ▶ '은행간 채권시장 규제당국인 중국은행간시장거래상협회(NAFMII)에 따르면 채권 만기 연장을 위해서는 모든 채권단이 회의에 참석해 만장일치로 승인해야 한다.

이번 안건에 대해 86.15%(채권액 기준)는 찬성을 했지만 5.85%가 반대했다. 기권한 사람은 8%였다. 대형 채권단인 중국국제금융공사(CICC)와 화태증권 등 두 곳이 만기 연장에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추가 내용은 하기 본문 참조 (머니투데이)

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4501161?sid=101

 

中 '반도체 굴기' 무너지나…국유 메모리 기업 부도 위기

[머니투데이 베이징(중국)=김명룡 특파원] ━ 반도체 굴기 상징 칭화유니 경영한계 왔나 ━ 중국의 핵심 메모리 반도체 국유기업인 칭화유니그룹(淸華紫光)이 13억위안 규모의 채권 만기연장에

n.news.naver.com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