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BM 개발 관련, 연속발사 성공 & 실전배치 본격화

 - 로켓 발사는 우주기술과 직접적인 연관. 

 - 1차 누리호 발사 때는 하지 못해 관련업계 인원들이 바라고 기대했던 기술. 고체연료 로켓 발사 해냈다. 
  로켓 발사 준비 시 직접 연료를 주입해야 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액체연료와 달리 미리 연료를 넣어
놓을 수 있고 연료 탑재 후 이동까지 가능해서 큰 기술력의 성과로 평가되는 액체 to 고체연료 사용.

 - SLBM 발사성공 첫 공개 때 처럼 마치 숨겨놨던 기술인 듯 계속되는 성공. 우주 강국으로 한 층 더 다가가. 

 - 곧 다가 올 2차 누리호 발사 때 고체연료 사용여부 기대

 

 

http://naver.me/5Gz3ySnH

 

[D] 고체로켓 첫 발사 성공과 뉴스페이스, 그리고 우주청

안녕하세요, 최근 군 당국이 고체연료 로켓(우주발사체)의 첫 시험발사에 성공한 뒤 이른바 뉴스페이스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뉴스페이스 시대와 차기 윤석열 정부가 신

contents.premium.naver.com

 

 

https://www.youtube.com/watch?v=sA0xp74sMPE 

 

 

https://www.youtube.com/watch?v=Cc47ofb0Dfk

 

https://www.youtube.com/watch?v=XyWUA9intHE 

 

 

 

728x90

■ 북한 핵실험 준비 징후 포착  (아래)

 

■ KT1 훈련용 전투기 사고 원인 및 경위 ,

사고원인 및 경위(현재까지 조사/추정)

- KT1기체는 시야확보가 다른 기체보다 쉽고 항법장치가 내장되어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함.

- 총 네 대 비행. 첫 두 대는 눈으로 시계비행, 5분 뒤 이륙한 기체 두 대는 계기비행함.

- 계기비행 기체가 앞서 가던 훈련기를 충돌. 충돌 시 이미 큰 충격으로, 조종하던 학생 비행사 두 명과 교관 비행사 모두 숨진 것으로 예상됨.

- 충격 감지 후 치명상 입은 비행사들을 기체가 사출시키며 낙하산이 펴짐. 기체는 날개가 파손된 채 동체만으로 추락하고 조종사들은 숨진 채 낙하산으로 지면까지 내려온 것으로 예상됨. 

 

 

https://www.youtube.com/watch?v=lPYPaYplb7Y 

 

https://www.youtube.com/watch?v=v5MjqPMoZXo 

 

https://www.youtube.com/watch?v=S0SPau73Q5s 

 

●북한 추가 미사일 발사 준비 정황 포착 

 

https://www.youtube.com/watch?v=cZ42rISVI2Y 

 

https://www.youtube.com/watch?v=OUl7N4Yps5U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