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 시황
- 국내증시 큰 폭 회복
- 한화에어로 실적호조로 7% 대 회복, 한국항공우주 4%대 회복 . 그 외 종목들 모두 크게 회복하였음.

■우크라이나 침공
- 러시아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 점령직전. 그러나 우크라이나 저항 강해.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러시아가 수도 침략 시 실시간으로 침략행위 송출 예정
- 러, 체르노빌 원전 장악
- 우크라이나, 60세 이하 남성 계엄령으로 인한 동원. 출국금지 조치. 가족들과 이별

https://www.youtube.com/watch?v=sA8Rt0qevC4

- 본격적인 러시아 제재 시작. 대한민국도 수출에 타격 예상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4&oid=009&aid=0004926982 

 

[속보] 바이든, 러시아 수출통제 제재 승인 [러, 우크라 침공]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반도체 등 하이테크 제품의 러시아 수출을 통제하고 러시아의 4개 주요 은행을 제재하는 내용 등을 골자로 한 포괄적인 제재 방안을 공개했다. 바이든 대

news.naver.com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POD&mid=sec&oid=001&aid=0013012680&isYeonhapFlash=Y&rc=N

 

[우크라 침공] 美 고강도 제재에 한국 반도체·자동차 등도 러시아 수출 제한

삼성전자·SK하이닉스 반도체 제품 타격…작년 러시아 반도체 수출액 885억원 스마트폰 수출도 차질…삼성전자, 작년 러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30%로 1위 자동차와 관련 부품 수출에도 영향…현지

news.naver.com

 



■오전시황
■코스피40 포인트 회복. 불확실성 제거. 그러나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위협은 여전.
- 한화에어로 3%대 회복. 카이스트와 우주산업 협력.
- 한국항공우주 3% 대 회복. 제이피모건 매수 1위.
- 켄코아 3% 회복 중
-조선주 연일 상승. 대우조선 6%대 상승중.
첨단함정, 스마트기술 선보여.



■러시아 키예프 포위. 우크라이나 결사항전 다짐.

■미국 마감시황 : 미국 증시 급등 (회복)

 

728x90

■ 정부가 러시아제재 동참의사 표명.
청와대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관련 내부 회의 후 대통령이 대 러시아 제재 동참 의사를 밝혔다.

- 현재 나토 및 지지국들의 군사대응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미국과 EU등 여러 국가들이 대 러시아 경제 제재에 동참하고있다.

https://youtu.be/sUmx8ittB7Q

- 우크라이나 반격 - 러 군용기 격추, 트럭 등 파괴.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공항 등 무력화

https://youtu.be/vkgi67R3BtQ


- 현재 러시아 침공 상황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022869?lfrom=kakao

[영상] 전투기 뜨고 낙하산 공습에 공항 폭발…'아비규환' 참혹한 현장

[서울경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새벽 우크라이나 내 ‘특별 군사작전’을 승인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 작전이 친러시아 반군 점령지인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

n.news.naver.com




■마감시황




■러시아, 전면전 시작. 우크라이나 침공 시작.
http://naver.me/GYuni07K

[속보] 우크라 외교장관 "푸틴, 전면전 개시"

[경향신문]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교장관은 24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략 전쟁’에 돌입했다면서 우크라이나 도시들이 러시아군의 공습

n.news.naver.com



■미 바이든 대통령, 러시아 침략 규탄, 동맹국들과 단호히 대응할 것.

- 독일, 어제 대한민국에 러시아 제재에 대항하는 제재 참여 요청

- 러시아 제재 동맹에 대한민국은 없어. 미국,독일 등이 참여 요청했으나 정부는 참전은 고사하고 제재 참여의사 관련 이슈에도 묵묵부답. 러시아와 마찰 시 수출갈등 우려

- 캐나다, 호주 등도 어제 싱가폴, 스페인, 일본에 이어 러시아침공 반대하는 국제사회 규탄에 지지 표명

http://naver.me/FErYw3mj

바이든 "러, 부당한 공격 책임 묻겠다‥동맹과 단호히 대응"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정당한 이유가 없는 공격"이라고 비판하고 동맹 및 파트너들과의 단호한 대응을 천명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가 우크라이

n.news.naver.com



■오후시황
- 국내장 폭락. 우크라이나 전면점 위험 고조
- 빅텍 한일단조 퍼스텍 등 방위산업 전문업체 주가 급등
- 한국항공우주, 하필 이 시기에 소규모 호재들 연일 공시
- 켄코아에어로. 사상최대 실적에도 러시아침공 리스크로 상승 대신 하락.




■방역패스 첫 해제

- 출입을 제한했던 방역패스 설정 이후 처음으로 방역패스가 전면 해제되는 첫번째 도시는 대구가 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0290582?sid=102

대구서 방역패스 효력 정지…60세 미만 시민 모두 적용

대구에서 앞으로 60세 미만은 식당이나 카페를 출입할 때 방역패스를 제시하지 않아도 됩니다. 대구지법 행정1부는 조두형 영남대 의대교수와 시민 309명이 대구시를 상대로 낸 '백신패스 집행정

n.news.naver.com

728x90

- 북한의 금일 미사일 도발로 인해 국내증시 급락중.

 

국방/군사

-북한, 미국 재제에도 또 동해에 미사일 발사. (오늘 까지 네 번째 도발)

 

https://www.youtube.com/watch?v=nqgNwhv24rw

 

- 북한 세번째 도발. 1~2회정도에 그쳤던 기존 도발과 달리 이례적 연속도발.
정부의 더 이상 없을것' 이라는 관측 을 뒤엎는 행위. 미국재제 직후 보란듯 발사하였다.
지난 금요일 (14일) - 열차식 발사. 단거리 탄도미사일

 

https://www.youtube.com/watch?v=g9PXmWs-RBI

 

- 대한민국, 연이은 북한 초음속 미사일 발사로 인해, 전투기에 장착 가능한 초음속 미사일 도입 검토.
(차기 도입예정 전투기인 KF-21 장착예정. 타격지 좌표 입력 방식으로 별도로 미사일 자체 레이더 불필요-필요 시 FA-50에도 장착하여 공격 가능)

 

https://www.youtube.com/watch?v=F5phzqN1dUQ&t=19s

 

국내/경제

전국 마트 등 / 기존 서울에만 해제 되었던 방역패스 해제 (정부 '서울만 해제는 형평성 부합하지 않아')

사적모임 - 6인까지 허용

https://www.youtube.com/watch?v=3iJ9ZKDATHM

 

국제

베이징 오미크론 발생(방역벽 돌파) 및 확산. 베이징 올림픽 비상.
(현재 미국, 영국, 호주, 일본, 북한 불참 선언)

https://www.youtube.com/watch?v=MTQuvycYBQI

 

728x90

  오미크론이 정말 크리스마스의 선물이 될까?

 오늘에와서야 그 가능성이 일부 보인 듯 하다.

 미국에서 오미크론 일확진자가 처음으로 감소했다는 소식과함께 선물과 가상자산인 비트코인이 상승하고 있다는 소식.

  미국 뿐만 아니라 오미크론의 진원지였던 남아프리공화국 '하우텡'주 에서는 이미 확진자 숫자가 훨씬 더 적다고 밝혔다. 이로써 진원지의 오미크론 감염 수는 지난 수 정점을 찍은 것이 되고 앞으로 긍정적인 소식을 기대해볼 만 한듯 하다.

 내용을 좀 더 보면, 오미크론의 치명률에 대해 오미크론변이의 발생이 사망률을 더 높이지 않았으며 기존에 큰 두려움을 몰고 왔던 델타변이 바이러스보다 '훨씬, 훨씬' 덜 심각하다고 주장한다는 내용이다. 

기사가 사실이라면 미국 뿐 아니라 우리 국내에도 아주 긍정적인 신호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오미크론 "퇴각 중" CNN 긴급보도 확진자 첫 감소 뉴욕증시 환호 (g-enews.com)

 

오미크론 "퇴각 중" CNN 긴급보도 확진자 첫 감소 뉴욕증시 환호

오미크론 확진자가 감소하기 시작했다는 보고가 나왔다. 이 소식에 뉴욕증시 지수선물과 비트코인 등이 환호하는 모습니다. 뉴욕증시 나스닥 다우 지수선물은 전날 정규장에서의 폭락세를 딛

news.g-enews.com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