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 일본제국의 패망 이후 자위대 전력으로 국가 방어를 위해 운용되고 있다. 

1.공군
 1)2022.08 - 일본과 영국이 차기 전투기를 공동 개발할 것이라 발표했다. 
 2)2016 - 일본은 2016년 이미 독자기술의 스텔스기를 완성하고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X-2 (스텔스기)는 4천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7년 만에 일본 자체 기술로 개발한 첨단 전투기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9nWg3k8FPmc 

 

2.육군 

 

3.해군

 - 22.8월 : 관함식 계기로 레이더 지침 무력화 시도 

https://www.youtube.com/watch?v=8GBg5kz1QMM 


 - 일본 군함 (콩고급 전함)
https://www.youtube.com/watch?v=HHujVkbe8H4 

 



 - 일본 해군의 역사 야마토급 전함 
https://www.youtube.com/watch?v=vXcAZXkJtP8 

 

728x90

 중국의 전력은 세계 강군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중국어선들이 사사건건 대한민국의 해양자원을 도둑질해 감에도 중국 당국은 의도적으로 묵인하고 있으며, 오히려 어선들이 철제 침을 배에 장착하고 철갑을 두르고, 선원이 무장하여 해적의 일종으로 활동하여도 좌시하는 모습을 보인다.  지금도 매년 서해에서는 중국 어선들이 불법으로 어획자원을 쓸어가는 바람에 우리 어민들의 피해는 헤아릴 수 없다.

 게다가 불법으로 플랜트를 공동해역에 건설하여 최근 원유를 불법 시추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전 정권이었던 문재인 정권에서는 이러한 사태에 대해 국내에서 비판 여론이 강하게 일었지만 '강력하게 항의'만 할 뿐 아무런 후속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정권이 변경된 상태이다. 

 

■육군

 - 수많은 육군 현역 인원을 보유중이며 탱크나 전차의 전력의 업데이트 시기는 최근이나 성능은 떨어진다.
 - 미사일인 둥펑 부대를 보유 중이며, 성능과 파괴력은 무시할 수 없다. 마하 6이상의 미사일도 있으며, 중간에 궤도변경까지 가능하여 요격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여 게임 체인저로 활용 될 수 있어 위협이 되는 존재다.

 

해군 : 항공모함 및 함재기, 전투선
 - 두 대는 작전, 한 대는 수리 방식으로 총 세 대를 운용한다. 

 1)랴오닝함
  - 러시아로부터 구입한 항공모함.
  - 구매 당시에는 고철을 구매했다며 세계가 조롱했으나, 이를 바탕으로 중국 자체적으로 항공모함을 건조할 수 있었다.
  - 스키점프대 있음. 
 
2)산둥함
  - 중국이 건조한 최초 항공모함.
  - 디젤 추진방식. 

3)푸젠함
  - 최근 중국이 건조한 항공모함.
  - 디젤 추진방식. 최초 CATOBAR식 항공모함.
  - 기존과 다르게 스키점프대 방식 아님. 적재 항공기 수가 대폭 증가했다 (가능한 소티 수도 대폭 증가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TopCdI5tQ 

 

 

https://www.youtube.com/watch?v=eFzW2Am6Xd4 

 

 

https://www.youtube.com/watch?v=Sszyal2KA1Y 

 

■공군

 - J-10, J-20 스텔스기

728x90

 한국항공우주 (KAI) 의 KF-21 전투기 개발에 이어, 대한민국과 방산업체가 스텔스 탐지가 무려 스텔스 측정이 가능한 레이더를 자체개발했다는 소식이다. 이 놀라운 뉴스의 주인공은 국방과학연구소(ADD)와 방산기업 LIG넥스원이며, 그동안 스텔스기조차 자체제작이 불가능했던 대한민국에서 레이더에 대한 꾸준한 연구를 통해 이와 같은 성과를 이루어 내었다. 

 스텔스기인 F-35 라이트닝을 미국에서 수입하고, 간헐적 스텔스의 4.5세대로분류된 KF-21 전투기를 개발한 과정을 거쳐 미국의 1,2 세대의 AESA 레이더가 측정하지 못하는 스텔스기체를 대한민국이 개발한 3세대 AESA레이더로 탐지하여 방어할 수 있게되었다. 이에는 국내기술로 개발된 천궁' 미사일을 발전시키며 기술력이 쌓였던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게다가 대한민국의 경우 소형 반도체를 제작하는 기술이 세계정상을 차지한 지 오랜 시간이 지나왔으므로 불가능한 것도 아니었다.

 중국의 경우 J-20이 스텔스기로 개발됨으로 인해 기존 우리가 도입해왔던 F-15K로 방어하기가 어렵다는 우려가 있었고 스텔스 구축함과 잠수함도 등장한 시대이다. 그러나 이번 개발로 인해 J-20 등이 출격하더라도 대응이 가능하다면 국방력 증강에 큰 힘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www.youtube.com/watch?v=5m51_9KPiqo

 

blog.naver.com/mc341/222329093904

 

한화시스템·ADD ‘스텔스기 탐지 레이더 기술’ 2種 독자개발…미래 영공방위 능력 크게 향상

[ADD] 스텔스 잡는 레이더 탐지기술 국내 개발 성공 ADD, 저피탐 항체 탐지 기술 개발 주변국 전투기...

blog.naver.com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