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일단위 업데이트 예정)

A.선사시대(구석기~철기시대)
1.구석기 (70만년전~1만년 전) –끝나며 빙하기가끝남 출제:경제/도구/주거/사회
 1)경제 : 수렵, 채집-이동경제
 2)생활  : -동굴,막집,무리사회, 불 사용, 수렵채집사냥
 3)도구:뗸석기 – 주먹도끼(+아슐리안형) , 불 사용
 4)유적 (한반도) : 
  ① 검은모루동굴 
  ② 연천전곡리:아슐리안주먹도끼-아시아 최초, 
  ③ 공주석장리: 최초고인돌 -사람뼈가 자연화석이 됨
  ④ 단양상시바위그늘
  ⑤ 청원 두루봉동굴 : 흥수아이 (아이 뼈)
  ⑥ 웅기굴포리, 승리산:최초 인골 

2.신석기 ((온난화)기원전 8000년~) : 농경,정착의시작 
 신간애니조가비 - 신석기,간석기,애니미즘,조개가면,비ㅅ살무니토기
 1)농경시작 (BC3000~ 조,피,수수+목축-벼농사아님) ,목축, 정착,씨족무리집단 / 빗살무늬 토기
 2)사회의 발생:평등사회-토테미즘,샤머니즘,애니미즘
 3)생활:움집 (원형) – 불은 방 가운데
 4)도구:간석기:돌낫,돌보습 ,돌괭이,가락바퀴(실)★★,뼈바늘. 토기-이른민무늬, 덧무늬,늘어찍기무늬,★★빗살무늬토기
 5)유적-빗살무늬토기, 이른민무늬->덧무늬토기
  ① 봉산지탑리, 
  ② 양양오산리
  ③ 부산동삼동(일본산 흑요석기 - 원거리교역)
  ④ 온천궁산리,
  ⑤ 서울암사동
  ⑥ 평양 남경유적(탄화좁쌀) 
  ⑦ 제주고산리(한국신석기 시대 상한이 8000년(기원전) 으로 상향조정, 강동암사동,영도동삼동
 -토기: 순서대로 -> 이덧눌빗  이른민무늬   덧무늬  눌러찍기   빗살무늬
 -유적:부산동삼동, 양양오산리
 
 3)청동기:잉여생산물발생-계급사회발생, 지상움집,화로(한쪽 끝) 
 -도구:반달돌칼 :  간석기, 청동거울, 방울 의기로 사용됨 
 -토기:민무늬토기, 미송리식토기
 -유적지:여의울주도안다 (울주군)
 
 4)철기
 -오수전, 화천 화폐사용

 

B.고조선시대
  -옷은 흰색을 숭상하며, 흰 베로 만든 큰 소매 달린 도포 와 바지를 입고 가죽신을 신는다.
 3)법:8조법.범금팔조가 시행되어 살인, 상해 , 절도 등을 처벌하였다.
 4)연부준만우사:연나라/부왕/준왕/위만/우거왕

1)성립:일연-삼국유사, 단군신화 . 영역은 비파형동검, 미송리식토기, 북방식고인돌 출토범위와 동일

2)체계:8조법-생명/노동력 중시, 농업중심, 신분과 사유재산보호, 
3) 청동기시작~철기수용(거친무늬거울,잔무늬거울 ,세형동검-청동기 의기, 잔무늬거울,)

4)문화/생활
-무덤 : 널무덤
-주거:방형,반움집

5)왕, 인물, 외교
-제나라와 교류, 연나라와 대립

B.고조선시대-1 위만조선
1)성립 : BC194
2)발전:중계무역 (한예진) 철기수용 (명도전,반량전)
3)멸망:BC108 (약90년 지속)
4)주변국
  -철기 전파. BC100 이후. 한반도 전역
  -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마/변/진)
  -풍습 (특징) – 제천행사

5)우거왕 때 멸망

2. 초기국가(고대국가)의 성립
B-부족국가-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
1. 부여
 1) 우가/마가/저가/(족장) 사출도,가뭄-왕에게 책임. 
 2) 제사:영고, 순장, 1책12법
2. 고구려
 1) 제사:동맹. 서옥제(데릴사위) 신부집 뒤 집
 2) 땅이척박, 산지-약탈
 3) 제가회의
   (가) 옷은 흰색을 숭상하며, 흰 베로 만든 큰 소매 달린 도포 와 바지를 입고 가죽신을 신는다.  
   (나) 부여의 별종(別種)이라 하는데, 말이나 풍속 따위는 부여와 많이 같지만 기질이나 옷차림이 다르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3. 옥저
 1) 군장(읍로삼군) , 고구려에 공납.
 2) 아내육성, 민며느리제, 순장, 골장제 (가족공동무덤), 
 3)  -고구려 개마대산 동쪽 - 여자10살전 혼인약속+여자를 신랑집에서 맞이하여 기름,아내로 
4. 동예
 1) 제사:무천 (10월) 
 2) 책화(책임 화입힘)타부족침범금지.산천중시, 
 3) 단궁 과하마, 반어피
5. 삼한
 1) 천군이 제사(소도), 제사:수릿날,계절제
 2) 군장 (신지, 부레, 읍차) , 별읍-소도
 3) 변한:낙랑과 일본에 철 수출
 4) 두레

 

728x90
728x90
728x90

한국사 선생님:공단기 (전한길-추천) , 이중석 (해커스-추천), 김종우 (모두공-고대왕 부분만 추천)문동균, 고종운

 

공무원 한국사는 실력이 좋은 선생님들이 많은 것으로 보이며 공부하는 방식에 따라 선호하는 선생님이 많이 나뉘는 것 같습니다.

그 중에 저는 전한길,이중석 선생님의 강의가 제일 좋았고 주위에서 질문을 하면 그 중 전한길 선생님을 추천합니다.

장점 및 특징 : 오래 전 부터 한국사를 교육했던 엄청난 커리어 만큼 전문적인 설명 - 사료와 역사적 사실이 쏟아져 나오는 한국사 과목은 들어도 뭔지 모르는 부분이 없도록 전후관계와 배경설명이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 느끼는데 그 부분에 있어서 최고인듯 합니다.

+ 중요 포인트를 정확히 잡아주고 그 포인트들을 통합 단원에서 한번 더 비슷한 시기의 컨텐츠에서 언급해주며 잊어버리는 부분을 물 샐틈없이 커버함. 잊어버린다 싶으면 나오고 이제 모르겠다 싶으면 좀비처럼 다시 등장시켜 기억을 되살려 주는 능숙한 (수업을 하고도 학생들이 잊어버리는 상황을 수십번 수백번 겪다 보니 그 대비가 철저한 것 같음)수업전개가 보임.

+개인적으로 , 지루하고 몰입감 없는 수업, 설명을 해도 너무 표면적이라 이해가 없는 단순암기식 수업이 계속 이어지는 수업은 학습효과가 극히 떨어지고 강의를 듣는 리드타임고 지나치게 길어진다고 생각하는데,

전한길선생님 올인원&필기노트 강의는 그런게 없는 점도 큰 강점인듯 합니다. (국어, 행정법 강의는 가끔 졸음이 몰려와서 한 강을 두번, 최대 세번에 나눠보는 경우가 있는데 여긴 그런 거 없음.) (이 부분은 해커스 이중석 선생님도 잘 하시는 부분이고 앞뒤 전후관계를 잘 연결한다는 강점이나 전매특허인 돌고래 소리를 이용하여 수업에 집중을 높이는 방법을 사용)

그 외 김종우선생님 (도끼한국사)는 초반 삼국시대 및 고대국가들설명과 팁으로 인기를 끄는 듯 했으나 그 이후 내용으로는 공무원 준비 톡에서 사람들이 추천하거나 수업을 수강했다는 내용을 듣지 못한 것 같습니다.

고종운 선생님은 카리스마있고 중요내용을 다루는 스킬이 좋아 마무리로 많이 활용하는 것을 보았으며

문동균 선생님의 경우는 1차로 먼저 , 대표강사로 알려진 선생님들의 수업을 듣고나서 보충하는 용으로 많이 사용한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선생님들마다 중요논점이 약간씩 다른데 여러 강사분들 수업을 들으니 빠지는 논점들을 커버하기가 아주 좋았다는 후기가 많았음)

728x90

+ Recent posts